“고혈압 약 먹고 나서 어지럽고, 피곤해요…”
약을 처방받고 복용을 시작했지만, 몸에 이상을 느끼고 불안해지는 분들이 많습니다.
실제로 고혈압 약은 장기 복용이 기본이기 때문에, 부작용이나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.
하지만 무턱대고 복용을 중단하는 건 매우 위험합니다.
오늘은 고혈압 약의 주요 부작용, 복용 시 주의할 점, 끊을 수 있는 경우는 언제인지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1. 고혈압 약, 왜 평생 먹는다고 하나요?
고혈압은 대부분 ‘완치’보다 ‘조절’이 목표인 질환입니다.
즉, 약을 통해 혈압을 정상 범위로 유지해주는 것이 핵심이죠.
약을 끊으면 다시 혈압이 오르기 때문에, 장기 복용이 기본이 됩니다.
단, 식습관과 운동 등 생활개선을 통해 약 용량을 줄이거나 끊는 경우도 존재합니다.
2. 자주 나타나는 고혈압 약 부작용 정리
고혈압 약은 종류에 따라 부작용도 다릅니다. 대표적인 것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칼슘차단제 | 발목 부종, 두통, 안면홍조 |
ACE 억제제 | 마른기침, 피부발진, 혈중 칼륨 증가 |
ARB 계열 | 드물지만 어지럼증, 가벼운 피로감 |
이뇨제 | 탈수, 전해질 불균형, 근육경련 |
베타차단제 | 느린 맥박, 피로감, 냉증 |
※ 사람에 따라 부작용 여부와 강도는 다릅니다.
→ 한 가지 약에서 불편함이 있다면, 다른 계열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
3. 이런 증상이 있다면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
- 약 복용 후 심한 어지럼증
- 발에 심한 부종이 생긴 경우
- 기침이 지속되고 가래 없이 마른기침만 있을 때
- 근육경련, 심한 피로감, 메스꺼움이 생길 경우
→ 이럴 땐 약을 끊는 것이 아니라, 종류 변경 또는 용량 조절이 해답입니다.
4. 약을 끊을 수도 있나요?
다음 조건이 갖춰진다면 의사와 상의 후 감량 또는 중단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- 꾸준한 식습관 개선과 체중 감량으로 혈압이 안정됨
- 스트레스 조절, 금연, 운동 등 생활습관이 안정적
- 3~6개월간 혈압이 꾸준히 정상 유지
- 의사의 판단 하에 점진적 감량이 가능한 상황
※ 절대 스스로 끊지 마세요. 갑작스러운 중단은 혈압 폭등, 심혈관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.
5. 부작용이 두렵다면, 이런 점도 체크해보세요
- 복용 시간 조정: 아침/저녁 복용에 따라 몸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음
- 식사와 함께 복용: 일부 약은 공복 시 흡수가 강해 부작용이 더 잘 나타날 수 있음
용량 나누기: 1회 복용 대신 분할 복용이 나은 경우도 있음
6. 마무리 – 약보다 중요한 건 꾸준한 관리입니다
고혈압 약은 무조건 나쁘거나 좋은 것이 아닙니다.
본인의 혈압 상태, 체질, 생활습관에 맞춰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혹시 약 복용 중 불편함을 느끼셨거나, 장기 복용에 대한 불안이 크시다면
아래 정리된 글을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.
어떤 약에서 어떤 대안이 있는지,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 도움이 되실 거예요 :)
고혈압 약, 부작용이 무서워서 안 드시나요? 끊으면 더 위험합니다! 꼭 알아야 할 복용 팁까지 정
Q. 고혈압 약 먹으면 간에 안 좋지 않나요?A. 대부분의 혈압약은 간 독성이 거의 없으며, 간 수치가 심하게 변할 경우 대체약으로 쉽게 조정 가능합니다.
jiwongeum.co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