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당화혈색소 정상수치, 몇 %부터 당뇨일까요?

by 하루한줄 건강정보 2025. 7. 23.
반응형

공복혈당은 정상인데, 당화혈색소가 높게 나왔어요. 이거 당뇨인가요?
요즘 건강검진이나 병원 진료 시 ‘당화혈색소(HbA1c)’ 수치를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혈당은 순간 측정값이라 불안정할 수 있지만, 당화혈색소는 최근 2~3개월간의 평균 혈당 상태를 보여주기 때문에
당뇨 조기 진단이나 혈당 관리의 핵심 지표로 쓰입니다.

그렇다면 정상 수치는 어디까지고, 몇 %부터 당뇨로 진단되는 걸까요?
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
 

1. 당화혈색소란 무엇인가요?

당화혈색소(HbA1c)는 적혈구 내 헤모글로빈에 포도당이 결합된 비율을 말합니다.
혈당이 높을수록 당화된 혈색소 비율도 함께 높아지기 때문에, 장기 혈당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.

 

 

2. 당화혈색소 정상수치 기준표

구분HbA1c 수치의미

정상 5.6% 이하 혈당 정상
당뇨 전단계 5.7% ~ 6.4% 인슐린 저항성 증가 가능성, 주의 필요
당뇨 진단 6.5% 이상 2회 이상 반복 측정 시 당뇨 확정

※ 당화혈색소 수치는 한 번으로 진단하지 않고, 최소 2번 측정 + 다른 혈당검사 병행으로 판단합니다.

 

 

3. 공복혈당은 괜찮은데 당화혈색소만 높으면?

이런 경우는 생각보다 흔합니다.
공복혈당은 하루 중 일시적인 상태지만, 당화혈색소는 하루 평균 혈당이 높았는지를 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.

예를 들어,

  • 공복혈당: 95mg/dL (정상)
  • 당화혈색소: 6.1% (당뇨 전단계)

 식후 혈당이 자주 높게 나왔다는 뜻이므로 반드시 식후 혈당도 함께 체크해봐야 합니다.

 

 

4. 당화혈색소를 낮추는 방법은?

 탄수화물 섭취 조절

  • 흰쌀밥 → 현미, 귀리
  • 과일도 과당이 높으니 소량만 섭취
  • 빵, 면류, 설탕 가공식품 줄이기

 운동 습관 만들기

  • 식후 30분 이내에 가볍게 걷기
  • 일주일 3~5회,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

 수면, 스트레스 조절

  •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는 인슐린 저항성 높임

 체중 감량

복부비만은 혈당 상승의 주범입니다

 

 

5. 목표 수치는 어디까지?

당뇨가 있는 분들은 보통 6.5%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하지만 연령이나 합병증 여부에 따라 목표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연령대/상태권장 목표 HbA1c
일반 성인 6.5% 이하
고령자, 저혈당 위험 높은 경우 7.0~7.5% 이하
당뇨 전단계 5.7% 미만 유지 노력

 

 

6. 마무리 – 건강검진 결과, 그냥 넘기지 마세요

혈당이 정상이라도, 당화혈색소가 높게 나오면 몸속에서는 이미 변화가 시작됐을 수 있습니다.
초기 단계에서 식단과 운동만으로 충분히 되돌릴 수 있으니, 지금부터 실천해보세요.

 

혹시 당화혈색소 관리와 관련해 더 자세한 자료가 필요하셨다면
정리된 글을 하나 공유드릴게요.

수치별로 어떤 대응이 필요한지 간단하게 체크해볼 수 있습니다 :)

 

당화혈색소 정상수치, 몇 % 이하가 안전한 걸까? 단 한 번 수치로도 3개월 혈당 상태를 알 수 있습

"혈당은 정상이래요. 근데 당화혈색소가 높대요?"

jiwongeum.co.kr

 

반응형